컨텐츠 중국어

과학의 날을 맞이하여 알아보는 중국 대표 과학기술 관광기지!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2025. 4. 21. 10:00

 

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4월 21일은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 제정된 기념일인 과학의 날입니다.

 

날로 발전하는 과학기술은 더 나은 미래를 여는 동력인데요.

 

우리나라를 비록해 세계 여러 나라는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웃 나라 중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특히 중국은 장기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신흥 과학기술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은 중국 대표 과학기술 관광기지 세 곳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과학기술관 (中国科学技术馆), 베이징

 

첫 번째 과학기술 관광기지는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과학기술관 (中国科学技术馆)' 입니다.

 

1988년 과학교육 및 인재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 문을 연 이곳 전시관은 과학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전시물과

 

관람객들이 직접 과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체험 아이템 등이 있습니다.

 

2006년 신관을 개장한 이후 더 많은 전시와 다양한 과학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전시는 크게 '과학 낙원'. '중국의 영광', '탐험과 발견', '과학 공학과 생활', '도전과 미래' 라는

 

5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과학을 주제로 한 단기 전시회를 지속해서 열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동양 최대인 600석 규모의 4D 아이맥스 영화 상영관, 물리학 전시관, 천체 전시관, 과학 공원이

 

관람객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구형 전파망원경 '텐옌 (天眼)', 구이저우성

 

두 번째로 소개해드릴 중국 대표 과학기술 관광기지는

 

구이저우 (貴州)성 지역 산림지대에 건립된 구형 (球形) 전파망원경 '텐옌 (天眼 tiānyǎn)'입니다.

 

일명 '하늘의 눈'이라 불리는 텐옌은 지름 500m 크기의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으로,

 

축구장 30개를 합한 크기인 약 25만㎡의 면적을 총 46만 개의 반사 디스크로 덮었습니다.

 

연구 기간 22년, 공사 기간 5년, 투입 금액 총 12억 위안 등

 

수치만으로도 텐옌은 중국에서 중요한 프로젝트였는 걸 알 수 있는데요.

 

2016년 9월, 첫 가동 당시 시진핑 주석은 프로젝트 관계자들에게 직접 축전을 보냈다고 합니다.

 

 

이 전파망원경은 우주 안에 존재하는 중성수소가스, 행성간 물질 등을 탐지해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밝히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외계 행성 간에 있을 수 있는 미세 통신 신호를 포착해 우주 생명체 유무와

 

그들의 문명을 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텐옌은 지름 300m 규모의 미국 '아레시보 천문데'의 망원경보다

 

수신 감도가 2.25배 높다고 하니 빠른 시간 안에 우주의 신비를 풀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주취안위성발사기지 (酒泉卫星发射基地), 간쑤성

 

세 번째로 소개해드릴 중국 대표 과학기술 관광기지는

 

간쑤(甘肅)성 지역 고비사막에 '주취안위성발사기지)' 입니다.

 

1958년 중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우주기지인 이곳은 산시(山西)성 '타이위안위성발사기지',

 

쓰촨(四川)성의 '시창위성발사기지', 하이난(海南)성 '원창위성발사기지'보다

 

규모 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주취안위성발사기지는 중국 우주비행산업 역사와 함께했습니다.

 

1970년 4월 21일 '동팡홍 (東方紅) 1호'를 시작으로,

 

1991년 11월 중국 첫 우주선인 '선저우 (神舟 shénzhōu) 1호',

 

2003년 10월 중국 최초의 우주인 양리위를 태운 '선저우 (神舟 shénzhōu) 5호',

 

2005년 10월 2명의 우주인을 태운 '선저우 (神舟 shénzhōu) 6호'

 

등이 발사되었습니다.

 

특히 선저우 7호는 탑승한 우주인들이 중국 첫 우주 유영에 성공해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앞으로도 주취안위성발사기지에서 발사 예정인 유인 우주선을 통해

 

우주 정거장 건설, 화성 탐사 등이 이뤄질 것이라고 하니 관심을 두고 지켜봐야겠습니다.

 

 


 

중국 대표 과학기술 관광기지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이웃나라로서 점점 과학 및 우주산업 강국이 되어가는 중국이 부럽기만 한데요.

 

충분한 연구 기간과 공사 일정, 큰 액수가 들어간 건설 비용 등 구형 전파망원경 텐옌 경우만 놓고 보아도

 

과학 및 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이 얼마나 큰지를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IT 기술은 세계적인 위치에 올라가 있지만

 

우주산업 부분은 중국에 비해 아직 초보자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우주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중국의 과학 및 우주산업 발전과정을 거울 삼아

 

확실한 계획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

 

그리고 과학기술과 산업발전을 견인할 핵심 인재 배출 등에 힘을 써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