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검열이 심한 중국에서 바이두 외에 많이 쓰는 SNS 및 인터넷 플랫폼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2024. 10. 18. 10:00

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검열'이란 공권력이 주체가 되어 언론, 출판, 예술 등의 분야에서 표현 내용을

 

검사 또는, 열람하는 행정 제도를 의미합니다.

 

민주국가에서는 이러한 검열이 민주주의의 필수 불가결 요소인 '표현의 자유'를

 

해치는 것이라 하여 금지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는 인터넷상의 강력함 검열이 존재하는데요.

 

중국 정부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표현물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으며

 

반체제 단체의 온라인 진입을 제지하기 위해 웹사이트 수억 개를 철저리 감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의 네티즌들은 구글 대신 '바이두', 페이스북 대신 '위챗', 유튜브 대신 동영상 플랫폼 '비리비리' 등을

 

사용합니다.

 

오늘은 중국에서 많이 쓰는 SNS와 인터넷 플랫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1. 비리비리 (哔哩哔哩) : 중국판 유튜브

 

최근 어린이들 사이에서 핫한 직업으로 떠오른 직업이 있죠?

 

바로 '컨텐츠 크리에이터' 즉 '유튜버' 입니다.

 

중국에서는 유뷰트를 대신해 '중국판 유튜브'라 불리는 '비리비리'를 사용합니다.

 

비리비리는 중국의 대표적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동영상, 라이브 방송, 애니메이션,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장르와 미디어 컨텐츠를 다루는 사이트 입니다.

 

 

 

2. 웨이보 (微博) :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는 '작다 (Micro)'는 뜻의 '웨이 (微)'에 '블로그'를 뜻하는 '보컬 (博客)'의 첫 글자를 더한 합성어로

 

영어의 '마이크로 블로그'와 같은 의미입니다.

 

글자 수 140개 이하의 단문을 올릴 수 있고 다른 회원을 팔로우 할 수 있어 중국판 트위터로 불립니다.

 

 

중국의 대형 포탈인 '시나 (sina.com)', '소후 (sohu.com)', '텐센트 (qq.com)' 등에서

 

모두 웨이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나 웨이보는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현재 중국 인터넷 유저의 약 30% 가량이 사용하는 SNS 입니다.

 

 

참고로 '웨이보쿵 (微博控)'이란 말은 웨이보 없이 살 수 없는 중국 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쿵 (控)'은 영어로 'Complex)'에 해당하는데요.

 

중국인들 사이의 대화 화제의 70%가 웨이보에서 나오고, 웨이보가 말은 대신하고,

 

웨이보 팔로워 숫자로 상대방을 평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생격난 말입니다.

 

 

 

3. 바이두 (百度) : 중국판 구글

 

 

'바이두'는 중국 최대의 검색엔진으로 우리나라의 '네이버'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검색엔진과 함께 온라인 백과사전, 음악 재생 등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이두는 '알리바바', '텐센트'와 함께 중국의 3대 IT기업으로 손꼽히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구글의 짝퉁'이란 반갑지 않는 별칭으로 불렸지만

 

이제는 어느새 구글을 위협하는 존재로까지 성장했습니다.

 

 

'바이두'라는 이름은 송나라 당대 유명 시인 신기질의 '청옥안'의 마지막 글귀에서 인용했다고 합니다.

 

문자적 의미는 '수백 번'을 뜻하지만 시 구절 속에서는 끝없이 대상을 찾아 애매는 모습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바이두는 중국판 구글로 불릴 만큼 정확하고 폭넚은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는데요.

 

중국어 발음, 스냅사진 검색뿐만 아니라

 

맞춤법 검사, 주식 시세, 뉴스, 이미지, 영상 검색, 바이두 맵을 통한 위치 정보,

 

날씨 및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게시판 서비스 '바이두 스토리', '음악파일 검색사이트',

 

백과사전 웹사이트 '바이두 백과', 블로그 서비스 '바이두 공간'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 위챗 (WEchat) : 중국판 카카오톡

 

대륙의 카카오톡으로 불리는 '위챗'은 중국 인터넷 기업 텐센트가 운영 중인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앱입니다.

 

지원되는 언어는 중국어, 영어, 한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포르투갈어 등 18종으로

 

무료 문자메시지, 사진 공유 외에도 현재 위챗을 사용하는 이용자를 본인과 가까이 있는 순으로

 

보여주는 기능인 '주변 탐색' 기능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2011년 서비스 출신 당시에는 중국 내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웨이신'이란 중국어 명칭을 썻지만,

 

이용자 층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글로벌 시장을 새롭게 공략하기 위해

 

2012년 4월 서비스 명칭을 지금의 '위챗'으로 변경했습니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많이 쓰는 SNS와 인터넷 플랫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중국여행, 중국유학 등의 계획이 있는 분들이라면 꼭 참고하셔서 불편을 겪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