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중국어회화 51

중국의 정월대보름 원소절 유래와 풍습 살펴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음력 1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혹시 아시나요? 바로 정월대보름입니다! 올해는 2월 12일이 정월대보름으로 중국에서는 이 날을 원소절이라고 합니다. 다가올 2월 12일을 맞이하면서 오늘은 중국의 원소절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할께요. 元宵节 【yuánxiāojié】 중국의 원소절은 새해가 시작되고 보름달이 처음으로 떠오르는 날로서 상원절 (上元节 shàngyuánjié)이라고도 하며, 이 날에는 거리에 각양각색의 화려한 등롱, 연등들이 절경을 만들어주기에 등절 (灯节 dēngjié) 이라고도 한답니다. 또한 가장 큰 보름을 뜻하난 원석 (元夕 yuánxǐ)로 부르기도 하며 간혹 소정월 (小郑月 xiǎozhēngyuè)이라는 표현을 하기도 하는데..

컨텐츠 중국어 2025.02.11

설연휴 정주행하기 좋은 넷플릭스 중국드라마 추천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내일부터 설 연휴가 시작되는데요. 연휴 기간동안 무엇을 할지 고민이신 분들은 차이홍에서 추천드리는 넷플릭스 중국드라마를 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요? 맛있는 귤과 따뜻한 방, 그리고 넷플릭스만 있으면 꿀 같은 휴식 시간 완성! 어떤 재미있는 중국 드라마가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볼께요! 창란결 (苍兰决 cānglánjué) 창란결은 시청자들에게 많은 호평을 받은 작품으로 소설을 원작으로 한 고장극 입니다. 원작이 소설이긴 하지만 드라마에서는 절반 이상이 각색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 소설과는 많이 다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6부작의 작품으로 선계, 인간계 월족으로 나누어진 삼계 배경에서 최강자인 월존 동방청장과 최하급 선녀 ..

컨텐츠 중국어 2025.01.27

한국 설과 중국 춘절의 차이점 살펴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음력 1월 1일인 한국의 대명절 설날과 중국의 춘절이 곧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설날과 춘절의 풍습 그리고 놀이, 문화, 음식까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할게요! '설날'의 유래와 풍습 알아보기 한국의 설날은 한 해를 보내고 새해의 첫날을 기리는 명절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 중 하나 입니다. '설' 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는데, '새로 찾아온 해가 익숙하지 않아 아직 낯설다 (설다)'는 의미에서 유래되기도 하였고 '설'이 '나이' 또는 '해'를 뜻하기도 하여 '새해를 맞이해 한 살 더 먹는 날' 이라는 뜻으로 전해졌다는 말도 있습니다. 한국의 설날은 다양한 풍습이 있는데, 설 아침이 밝으면 '새장'이라고도 하..

컨텐츠 중국어 2025.01.26

작은 설 동지, 중국의 동지 음식 알아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12월에는 전통 명절인 '동지'가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 모두 '동지'를 큰 겨울철 명절로 여겨 왔습니다. 오늘은 중국의 동지 음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지 (冬至 dōngzhì) 동지 (冬至)는 24절기의 22번째 절기로, 북극이 태양에서 가장 멀리 기울어져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인데요. 양력으로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드는데, 올해의 동지는 한국과 중국 모두 12월 21일 입니다. 한국의 동지 한국에서는 '동지첨치 (冬至添齒)'라 하여 동지팥죽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풍습이 있기 때문에 옛 선조들은 동짓날에 팥죽을 꼭 챙겨 먹었습니다. 팥죽을 먹을 때 찹쌀로 만든 새알심을 먹는 사..

컨텐츠 중국어 2024.12.20

우리나라는 붕어빵! 중국은? 중국의 겨울 간식 알아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날씨가 쌀쌀해지는 겨울이 오면 길가에서 파는 붕어빵, 어묵 꼬치, 호떡과 같은 간식의 유혹을 그냥 지나치기 힘든데요. 중국에서는 겨울철에 어떤 간식을 먹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빙탕후루 (冰糖葫芦 bīngtánghúlu) 한때 한국에서도 크게 유행했던 '빙탕후루 (冰糖葫芦 bīngtánghúlu)'는 산사나무 열매를 긴 나무 막대에 꿰어 달콤한 설탕물이나 물엿을 바른 후 굳혀 만든 중국의 대표적인 겨울 간식 중 하나입니다. 유래는 북송시대의 황제인 광종의 애첩인 황귀비가 병에 걸려 회복되지 않던 중, 한 의원이 산사나무 열매와 설탕을 함께 달여 식전에 5~10개씩 먹게 하자 황귀비의 병이 완쾌되었다고 하는데요. 이 소식이 민간에까지 전해지면..

컨텐츠 중국어 2024.12.04

칠월칠석은 발렌타인 데이? 중국의 칠석 알아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칠석'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도 있는 명절로, 중국과 일본에서는 여전히 중요하게 여기는 명절 중 하나입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일본은 칠석을 양력으로, 한국과 중국은 음력 7월 7일로 지낸다는 것인데요. 오늘은 중국의 '발렌타인데이'라고도 불리는 '칠석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칠월 칠석' 한국의 '칠월 칠석'은 '견우직녀 설화'로도 많이 알고 계실텐데요. 견우와 직녀를 위해 까치와 까마귀들이 해마다 7월 7일 밤 '칠석날'에 오작교를 높아준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칠석날에는 비가 자주 내리는데요 하루 전에 내리거나 낮에 내리는 비는 기쁨의 눈물이고, 이튿날 내리거나 밤에 오는 비는 슬픔의 눈물이라고 전해집니다. 견..

컨텐츠 중국어 2024.08.10

더위를 식혀줄 등골 오싹한 무서운 이야기! 중국 괴담 알아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세계 각 나라에서는 무섭고도 특이한 괴담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한여름 밤에 친구들과 모여서 귀신 이야기를 하며 공포에 떨며 잘 못 이룬 경험 다들 있을 텐데요. 오늘은 더위를 식혀줄 등골 오싹한 중국 괴담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베이징 375번 버스 괴담 장웨이제 인체의 신비전 표본 괴담 베이징 에이즈 주사기 괴담 오늘은 더위를 식혀줄 등골 오싹한 무서운 괴담을 알아봤습니다. 그럼 다음에도 흥미로운 주제로 만나요! 학습상담 053-633-5525 ​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2024.07.11

오싹하거나 청량감 넘치는 여름용 넷플릭스 중국 영화 추천

니하오! 안녕하세요!! ​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무더운 여름 날씨가 한창일 때는 시원한 극장이나 집에서 재미있는 영화를 보는 것만큼 좋은 휴식이 없는데요. 오늘은 무더위에 안성맞춤인, 오싹하거나 청량감 넘치는 넥플릭스 중국 영화 추천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귀교 (女鬼橋 nǚguǐqiáo) '여귀교 (女鬼橋)'는 대학교 캠퍼스를 뒤흔든 저주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공포영화 입니다. 무더운 여름, 캠퍼스를 배경으로 쉴새없는 공포스러운 장면과 예상치 못한 반전으로 끝까지 긴장감을 놓을 수 없게 하는 '여귀교'로 더위를 피해 보는 건 어떨까요? 싱린병원 (杏林医院 xìnglínyīyuàn) 영화 '싱린병원'은 2021년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공포영화입니다. '싱린병원'은 ..

컨텐츠 중국어 2024.07.05

중국의 개, 차우차우! 중국 견종 알아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수가 313만여 가구에 이르는 요즘, 1인 가구가 점차 늘면서 반려동물 양육 가구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반려동물은 이제 가족 구성원으로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 중국에서는 어떤 견종이 사랑을 받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우차우 (松狮犬 sōngshīquǎn) 중국에서 유래한 견종인 '차우차우 (松狮犬 sōngshīquǎn)'은 2천여 년 전부터 중국에서 길러졌는데요.  사자와 흡사한 외모의 차우차우는 다부지고 짧은 체형에 균형이 잘 잡혀 있습니다..

컨텐츠 중국어 2024.05.25

샤오롱바오? 중국의 다양한 만두 종류 알아보기

니하오! 안녕하세요!!​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중국의 대표 음식 하면 떠오르는 메뉴 중 하나가 바로 '만두'인데요.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합니다.  오늘은 중국의 만두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두의 유래 만두는 일반적으로 밀가루 반죽을 동그랗게 만들어  고기와 채소 등을 섞은 소를 넣어 빚은 음식을 말합니다.  촉나라의 제갈량이 남만 정벌 후 회군하는 길에 강가에서 심한 파도와 바람으로 인해 발이 묶인데서 유래합니다. 노수라는 강에 사는 신이 노하여  마흔아홉 사람의 목을 베어 강에 던져야 강을 건널 수 있다는 말에, 제갈량은 억울한 목숨을 희생하는 대신  밀가루로 사람의 머리 모양을 만들고 그 안을 소와 고기로 채워 제물을 바치고, 얼마 후 강이 잠잠해졌습니다.  사람들은..

컨텐츠 중국어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