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나날이 쌀쌀해지는 가운데 11월 7일은 절기상 '입동'입니다.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입동이 지나면 각 지역에서는 김장을 위한 준비가 시작되는데요.
그렇다면, 김장은 언제 하는 것이 가장 적기일까요?
오늘은 입동의 유래 및 풍속 그리고 김장 시기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입동의 유래

입동은 24절기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겨울이 시작된다'하여 입동 (立冬)이라고 합니다.
입동은 태양의 황경이 225도 일때를 칭하는데요.
양력으로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으로, 입동 후에는 첫눈이 내린다는 의미의 절기 '소설'이 있습니다.
한편, 중국에서는 입동 후 5일씩을 묶어 초후(初候), 중후(中候), 말후(末候) 즉 3후(三候)로 삼았는데요.
초후에는 비로소 물이 얼기 시작하고, 중후에는 처음으로 땅이 얼어 붙으며,
말후가 되면 꿩은 드물어지고 조개가 잡힌다고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입동을 특별히 명절로 생각하지는 않지만
겨울에 본격적으로 들어선다는 생각 때문에 겨울 채비를 시작하게 되는데요.
전남 지역에서는 입동 때의 날씨를 보아 그 해의 추위를 가늠하게 됩니다.
또한, 전국적으로는 입동 날씨가 추우면 그 해 겨울이 크게 추울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입동의 풍습

입동이 오면 농가에서는 고사를 많이 지냈는뎅.
대게 음역으로 10월 10일에서 30일 사이에 낳을 받아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하고,
제물을 장만하여 곡물을 저장하는 곳간과 마루, 그리고 소를 기르는 외양간에서 고사를 지냈습니다.
이때 고사를 지내고나면 농사철에 애를 쓴 소에게 고사 음식을 가져다 주며 나누어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한편, 입동에는 치계미 (雉鷄米)라고 하는 미풍양속도 있었습니다.
'치계미'란 원래 사또의 밥상에 올릴 반찬 값으로 받는 뇌물을 뜻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치계미'란 마치 마을 노인들을 사또처럼 대접하는 것에서 기인한 풍속입니다.
따라서 입동이 되면 일정 연령 이상이 된 노인을 모시고 음식을 준비하여 대접하는데요.
이때 마을에서 형편이 넉넉하지 않은 사람도 일 년에 한 번 이상은 치계미를 위해 음식을 내놓았습니다.
반면에 치계미를 위한 형편이 되지 않는 사람들은 도랑탕 잔치로 이를 대신했습니다.
입동 무렵 미꾸자리들이 잠을 자기 위해 도랑에 숨는데,
이때 도랑을 파면 나오는 살찐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여 대접하는 것을 '도랑탕 잔치'라 부른 것입니다.
이 외에도 10월부터 정월까지 임금에게 우유를 만들어 바치고,
나이 많은 신하들에게 우유를 마시게 하는 등 궁중에서도 양로 풍속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김장 시기는?

입동에는 '입동 때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 해 겨울바람이 독하다'라는 말과 함께
입동을 전 후로 김장을 해야 제맛이 난다는 말이 예로부터 전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옛날 이 무렵에는 밭에서 무와 배추를 뽑아 김장을 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입동을 전 후하여 5일 내외에 담근 김장이 가장 맛이 좋다고 전해지지만
사실 최근에 들어서는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김장철이 조금씩 늦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올해는 입동 시기도 빠르기 때문에 김장을 하기에 다소 이른 느낌이 있습니다.
보통 김장은 일 평균 기온이 4℃ 이하이고, 일 최저기온이 0℃ 이하로 유지될 때가 적기입니다.
너무 빨리 김장을 하게 되면 김치가 빨리 익어 쉽게 무르게 되고
기온이 낮을 경우에는 배추나 무 등 채소가 얼어 좋은 맛을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직 정확한 자료가 발표되지는 않지만
작년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서울, 경기, 중부내륙 지방은 11월 하순,
동해안 및 남부 지방은 12월 상순, 남해안은 12월 중순경에 김장을 하는 것이 적기하고 전망했습니다.
본격적으로 겨울이 시작되는 '입동'!
다들 겨울맞이 준비는 하고 계시나요?
입기 애매해진 가을 옷은 모두 옷장에 넣고, 두툼한 외투와 목도리, 장갑 등을 꺼내어
나만의 겨울을 준비해보세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11월 11일은 무슨 날? 최대 쇼핑데이 '중국 광군제' 알아보기! (2) | 2024.11.09 |
---|---|
중국 드라마 '부요황후' 인기 열풍과 이유 알아보기 (1) | 2024.11.08 |
알아두면 쓸데 많은 중국 문화상식 알아보기 (1) | 2024.11.06 |
점차 사라지고 있는 중국 수공예 기술들, 이런 것 본 적 있어? (3) | 2024.11.05 |
딤섬의 도시 광저우! 현지인이 추천하는 광저우 음식들 (5)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