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우리가 많이 들어본 베이징, 상하이, 텐진 등은 모두 원래의 명칭 외에
한자 한 글자의 약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래의 지역 명칭에서 한글자를 따온 경우도 있고,
해당 지역의 산, 강 등의 명칭에서 가져오거나,
과거의 지역 명칭 또는 춘추전국시대 나라 이름에서 유래하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중국 주요 지역의 약칭, 두번째 이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할게요.
원래의 지역이름에서 유래
베이징 (北京 běijīng) / 京 (jīng)

중국의 수도이자 정치의 중심지인 '베이징 (北京 běijīng)'은
명나라 영락제가 수도를 '난징 (南京 nánjīng)'에서 자신의 세력 기반이었던
베이징으로 천도한 후 처음 '베이징'이라 불렀습니다.
'북쪽에 있는 수도'라는 뜻의 '베이징'은 원래의 이름에서 유래한 약칭을 가지고 있으며,
수도를 의미하는 '징 (京 jīng)' 입니다.
텐진 (天津 tiānjīn) / 津 (jīn)

명나라 시절 영락제가 건문제를 몰아내기 위해 난징으로 진격하던 중,
이곳에서 강을 건너 출병하였는데,
이를 기념하여 도시 이름을 '텐진 (天津 tiānjīn)'이라 칭하였습니다.
'천 (天)'은 '천자인 황제', '진 (津)'은 '나루터'라는 의미로
'황제가 건넌 나루터' 라는 뜻이고,
원래 이름에 있는 '진 (津 jīn)'을 약칭으로 사용합니다.
지앙쑤성 (江苏省 jiāngsūshěng) / 苏 (sū)

'지앙쑤성 (江苏省 jiāngsūshěng)'은 역사적 중심도시이자,
청나라 시절 지금의 '난징'인 '장닝 (江宁 jiāngníng)'과 지금의 '쑤저우 (苏州 sūzhōu)에서
한 글자씩 딴 명칭으로,
약칭은 '쑤 (苏 sū)' 한 글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산, 강 등의 명칭에서 유래
상하이 (上海 shànghǎi) / 护 (hù)

경제 중심지이자 아시아 최고의 항구가 있는 '상하이 (上海 shànghǎi)'는
대륙과 바다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 곳에서부터 바다가 시작된다, 바다로 나간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상하이의 약칭은 물을 뜻하는 '후 (护 hù)'로,
송강의 하류 지역인 상하이를 지칭하는 동시에,
이 지역 어민들의 대나무 통발을 뜻하는 '후 (扈 hù)'에서 변형된 명칭이라고 합니다.
충칭 (重庆 chóngqìng) / 渝 (yú)

'충칭 (重庆 chóngqìng)'의 이름은 남송시대에 황태자 조돈이
이 곳의 왕이 된지 한 달만에 황제로 즉위했기 때문에
'경사가 겹쳤다'라는 의미의 '쌍중희경 (双重喜庆 shuāngchóngxǐqìng)'을 줄여
부른데서 유래했습니다.
충칭의 약칭은 '위 (渝 yú)'입니다.
충칭의 인근에 흐르는 자링강의 고대 이름인
'위슈이 (渝水 yúshuǐ)'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지앙시성 (江西省 jiāngxǐshěng) / 赣 (gàn)

'지앙시성 (江西省 jiāngxǐshěng)'은 양쯔강 남쪽에 위치한 성으로,
중국 최대 담수호인 포양호가 있는 곳입니다.
약칭은 '깐 (赣 gàn)'으로
이 일대를 흐르는 강인 '깐지앙 (赣江 gànjiāng)'에서 유래했습니다.
과거의 지역 명칭에서 유래
샨시성 (山西省 shānxǐshěng) / 晋 (jìn)
산동성 (山东省 shāndōngshěng) / 鲁 (lǔ)

남북으로 뻗은 타이항 (太行 tàiháng) 산맥의 서쪽에 위치한'샨시성 (山西省 shānxǐshěng)'의 약칭은
춘추전국시대 진나라에서 유래한 '찐 (晋 jìn)' 입니다.
그리고 타이항 동쪽에 위치한 '산동성 (山东省 shāndōngshěng)'의 약칭은
춘추전국시대 국가인 노나라에서 유래한 '루 (鲁 lǔ)' 입니다.
후베이성 (湖北省 húběishěng) / 鄂 (è)

'후베이성 (湖北省 húběishěng)'은 뚱팅호 (洞庭湖 dòngtínghú)의 북쪽에 있는 성이라는 뜻입니다.
약칭은 '어 (鄂 è)'로 한나라 때부터 이 지역을 이르는 말이었다고 합니다.
후베이성의 성도인 우한 동남쪽의 '어저우 (鄂州 èzhōu)'에서 유래했습니다.
허베이성 (河北省 héběishěng) / 冀 (jì)
허난성 (河南省 hénánshěng) / 豫 (yù)

황하의 북쪽에 있는 '허베이성 (河北省 héběishěng)'은
고대부터 지저우 (冀州 jìzhōu) 지역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지 (冀 jì)'라는 약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황하의 남쪽에 있는 '허난성 (河南省 hénánshěng)'의 약칭은
'위 (豫 yù)'입니다.
고대 중국의 우임금이 천하를 9주로 나누었을 때 정한
위저우 (豫州)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오늘은 중국 도시의 두번째 이름, 약칭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약칭은 서면어로 많이 쓰이는데,
신문, 뉴스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자동차 번호판, 학교 이름, 음식 이름 등에 널리 쓰이고 있으니
알아두면 유용하겠죠?
그럼 다음에도 흥미로운 주제로 만나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도 메타버스 열풍? 중국의 메타버스 알아보기 (0) | 2024.04.16 |
---|---|
한번쯤 먹어보고 들어본 중국음식, 중국인의 소울푸드 알아보기 (1) | 2024.04.15 |
도수로 비교하는 중국의 술 (0) | 2024.04.13 |
없어서 못사는 포켓몬 빵! 중국의 인기 빵 종류 알아보기 (0) | 2024.04.12 |
중국에서도 흥행한 한국드라마 알아보기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