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중국어

중국 교복이 체육복인 이유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2024. 6. 23. 10:00

 

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중드나 중국 영화를 한번쯤 보신 분들이라면 중국 학생들이 교복이 아닌 체육복을 입은 모습을 보셨을 텐데요.

 

우리가 알고 있는 교복과는 차이가 있죠.

 

그렇다면 왜 중국 학생들은 교복이 아닌 체육복을 입고 있을까요?

 

이유는 바로, 중국은 교복이 체육복이기 때문이에요!

 

오늘은 재밌는 중국의 교복 문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제부터 체육복이 교복이 되었을까?

 

중국 교복이 처음부터 운동복이였던 것은 아닙니다.

 

체육복 교복도 비교적 최근부터 시작된 문화인데요.

 

 

1920년대에는 주로 제복식 교복이었고, 1930년 ~ 1940년대에는 전통 의상인 차파오를 입었습니다.

 

이후 1960년 ~ 1970년대에는 인민군 복장,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에는 요즘과 같은 교복을 도입했고,

 

90년댜 이후 대부분의 학교가 체육복 교복을 채택했습니다.

 

 

 

펀하고 실용적인 체육복 교복

 

중국 학교는 우리나라의 새천년 건강 체조와 같은 건강 체조를 실시합니다.

 

아침마다 전교생이 모여 10분 ~ 20분 동안 커찌엔차오 (课间操 kèjiāncāo)라는 건강체조를 실시하는데요.

 

 

이런 체조 및 체육 시간에 체육복 교복의 실용성이 발휘합니다.

 

중국 학생들은 체육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옷을 갈아입을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자림질이나 드라이클리닝을 할 필요도 없어 실용적인 면에서도 만족도를 선사하는데요.

 

 

가격 또한 저렴하여 경제적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습니다.

 

 

 

중국 교복 문화에도 부는 한류의 영향

 

한류의 열풍이 불며 한국 교복에 대한 관심 또한 뜨거워졌는데요.

 

‘꽃보다 남자', '궁', '상속자들', '어쩌다 발견한 하루' 등

 

한국 드라마가 큰 사랑을 받으며 심미성을 갖춘 한국 교복에 대한 중국 학생들의 관심과 수요가 늘어났습니다.

 

 

중국 학생들도 예쁜 한국식 교복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고,

 

체육복 교복과 비교하며 체육복 교복의 디자인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한다고 합니다.

 

 

 

90년대 ~ 현재 교복

 

실제로 한국의 영향을 받아 교복이 바뀐 학교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소수에 불가하고, 교복으로 전환을 고려하던 학교들도 학부모들의 반대로

 

다시 체육복이 교복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학생들은 체육복 교복은 심미성이 떨어지며 개인의 개성을 억누른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지만

 

학부모들은 '아이들이 학업에 집중할 수 없다', '실용성이 최고다' 등의 이유로 교복 변경을 반대하였다고 합니다.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교복도 변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실용성이나 경제성이 뛰어난 기존의 체육복 교복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적지 않은 충돌이 일어나는데요.

 

한국 학생들은 편한 중국의 체육복을 부러워하고,

 

중국 학생들은 예쁜 한국 교복을 부러워하니 아이러니한 것 같네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