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넓은 대륙을 가진 중국에는 두 개의 중심도시가 있습니다.
바로 북방과 남방의 대표 도시 베이징과 상하이 입니다.
베이징과 상하이 두 도시는 넓게는 역사와 문화,
작게는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습관에 이르기까지 차이를 보인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중국의 북방, 남방 문화의 차이와 함께
베이징 상하이 두 도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중국 남방문화와 북방문화 구분의 기준

중국의 지역차이는 남방과 북방의 이분법으로 나뉜다고 합니다.
엄청난 넓이를 자랑하는 중국의 남방길이는 5,500km로 남북의 위도 편차가 약 50도 정도라
문화와 생활양식에 다양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남방과 북방을 나누는 대표적 기준은 자연지리적 환경입니다.
중국의 대표적 강인 황허와 창장 사이에 흐르는 화이허강 (淮河 huáihé)을
남방과 북방을 구분하는 기준선으로 간주하며,
강북은 화이허의 북쪽 지역에, 강남은 화이허의 남쪽 지역에 위치합니다.
2. 중국 북방문화와 남방문화의 지리적 특징과 문화

중국 북방과 남방은 여러 면에서 두드러지는 차이가 있습니다.
중국의 북방은 비교적 추운 날씨와 척박한 자연환경으로 밭농사가 적합하지만
중국의 남방은 날씨가 온화하고 수자원이 풍부패 논농사가 잘 된다는 차이를 보입니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은 음식으로도 나타나는데요.
북방의 음식은 짜고 투박하며 면 요리를 위주로 하고,
남방의 음식은 육류나 유제품 위주의 달콤한 간식류가 발달했습니다.
역사적으로도 두 지역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북방지역은 국경과 가까워 다른 민족의 침입이 잦고, 전쟁이 잦았다고 합니다.
북쪽 지역은 넓은 평야로 이주어졌기 때문에 말을 타고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북방인들은 대범하고 호탕한 성격을 지녔다고 합니다.

반면 남방지역은 산과 강이 많아서 지역 간 이동이 불편하고 고립된 지역이 많아 다양한 문화와 방언들이 있습니다.
또한 협소만 공간에서 농사를 주로 지었기 때문에 내 것을 신중하게 관리하는 성격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러한 남방인들의 비상한 두뇌회전과 뛰어난 경제적 능력은 중국의 경제 성장을 이끌기도 했습니다.
3. 중국의 북방와 남방을 대표하는 두 도시의 문화 차이
수도이자 정치의 중심지 '베이징 (北京)'

중국의 수도 베이징은 800년 중국 역사의 중심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 역할을 해온 곳입니다.
베이징의 문화는 '징파이 (京派 Jīngpài)'라고도 표현합니다.
귀족적이며 전통적이라 말할 수 있는 베이징은
오랫동안 중국의 수도를 지켜왔으며 과거 황제가 살던 곳이기도 합니다.
현재는 중국 중앙 정부가 베이징에 있고, 국가 주석이 사는 5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역사의 중심지이기도 합니다.
상하이에 비해 권위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이 낮은 베이징은
세계화에 개방적이며 외국인 수용도 역시 높다고 합니다.
경제 중심의 도시 '상하이 (上海)'

1843년 개항 후 독특한 지리적, 환경적 특성으 가졌던 상하이는 세계 경제 중심지로
세련되고 모던한 이미지를 고수해왔습니다.
상하이의 문화는 '하이파이 (海派 Hǎipài)'라고도 표현하는데요.
오락적, 상업적 도시라 말할 수 있는 상하이는 베이징과 달리 중국의 근현대 역사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외국에 개항된 도시적 특성에 따라 외국인, 외국문화의 교류가 활발해서 거주인들 또한 개방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상하이의 20대는 미래에 대한 희망적인 태도와 도전적인 삶에 대한 선호가 강하고
성 역할이나 결혼에 대해 서구적인 면을 보이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각각 다른 매력을 가진 중국의 두 도시 베이징과 상하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남방과 북방을 대표하는 만큼 두 도시는 같은 중국 안에 있지만
다른 문화가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중국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분들 중 역사와 문화의 중심지를 경험해보고 싶다면 베이징을,
근대화와 상업의 중심지를 경험해보고 싶으시다면 상하이를 추천해드릴게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여대생은 양산, 한국 여대생은 선크림? 한·중 여대생의 문화 차이 (5) | 2024.09.28 |
---|---|
아직은 낯선 중국 디저트 시미루 (西米露)를 아시나요? (1) | 2024.09.27 |
중국 택시부터 전기스쿠터까지! 다양한 중국 교통수단 (2) | 2024.09.25 |
고량주 종류와 먹는 법! 어떤 안주와 어떻게 먹어야 맛있을까? (1) | 2024.09.24 |
중국의 생일 문화! 한국은 미역국, 중국은? (0)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