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중국의 최신 유행어를 살펴 보면 사회적, 문화적 이슈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빠르게 대중의 공감을 얻고 널리 퍼져나가는 유행어에는 많은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오늘은 중국의 유행어를 통해 중국 소비 문화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SNS상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유행거아 있는데요.
'은형빈곤인구 (隐形贫困人口 yǐnxíngpínkùnrénkǒu)'라는 단어입니다.
은형은 형체가 보이지 않다, 투명하다 라는 뜻이며
빈곤은 가난하다는 뜻입니다.
두 단어를 합쳐서 해석하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가난한 사람' 입니다.
중국 최대 SNS 시나웨이보에서 모 계정이 이 단어를 소개하면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중국의 젊은 세대들이 자신의 현재 라이프스타일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다고 공감 했기 때문입니다.

'은형빈곤인구'는 다음과 같이 해석 할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매일 부러워할만한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가난한 사람들'
이 풀이는 한 때 우리나라에서도 열풍이었던 YOLO 문화와 욜로족을 떠오르게 합니다.
미래보다 현재를 더 중시하고, 더 좋은 삶을 추구하며 자기계발에 아낌없이 소비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중국 청년들이 소비 장식에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게 된 것은
지우링허우 (90后 jiǔlínghòu) 들이 주력 소비계층으로 더오른것과 연관이 있습니다.
지우링허우는 중국에서 1990년대에 태어난 세대로 중국 총 인구 수의 16%인 약 2억 2000만 명에 달합니다.
날로 새로워지는 소비 호나경과 보편화된 모바일 할부가 지우링허우들의 소비 습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젊은 세대에게 할부 구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국 대표 온라인 쇼핑몰 티몰 (天猫 tiānmāo)에 따르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사치품 소비자 중 지우링허우가 절반이며 총 거래의 45%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통계 자료들의 소비 패턴을 보면 은형빈곤인구는 수입 자체가 적은 것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실제로 더 좋은 소비를 위해서 저축을 하기도 합니다.
은형빈곤인구는 자신을 위해 아낌없는 소비를 하는 중국 젊은 세대들의 소비 문화이며
현 SNS 세대의 소비를 대표하는 하나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중국의 최신 유행어 '은형빈곤인구'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오늘날 은형빈곤인구가 된 중국 청년들의 삶과 소비관에 대해 공감 하시나요?
중국의 소비시장에 새로운 동력을 가져다 주고 있는 은형빈곤인구,
그들의 소비 문화가 또 어떻게 변화할지 그 추이를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사극 '사마의2 : 최후의 승자' 열풍과 이유 알아보기 (0) | 2024.11.27 |
---|---|
햄버거 가격으로 보는 세계 경제, 중국의 '빅맥지수' 의미 (0) | 2024.11.26 |
12월 연말을 의미있게 보내는 중국 여행지 추천! (1) | 2024.11.24 |
중국판 다이소 '미니소'! 꼭 사야 하는 미니소 쇼핑리스트 (2) | 2024.11.23 |
중국에서 즐길 수 있는 대표 음악 페스티벌 추천 (2)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