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중국과 한국은 동아시아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는데요.
중국 결혼식 문화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한국 결혼식 문화와 비교해보며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해요!
성별에 따라 결혼 가능 나이가 다르다. (남자 22세, 여자 20세)

우리나라는 만 18세 이상이라면 결혼이 가능한데요.
중국은 성별에 따라 결혼할 수 있는 나이가 정해져 있습니다.
남자는 만 22세, 여자는 만 20세가되면 합법적으로 혼인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법정 결혼연령을 20세 이하로 지정하고 있는 점에 비하면
중국의 법정 결혼연령은 높은 편에 속합니다.
때문에 최근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결혼연령을 세계적 추세에 맞춰 낮춰야 한다', '남녀 차별'이라는
일부 지적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하지만,
그와 반대로 대부분의 중국 누리꾼들은 '팍팍한 현실을 감안하면 말도 안되는 소리'라는
반박과 함께 결혼 연령을 낮추는 것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작년 인민일보가 실시한 온라인 투표에서
'결혼 연령을 낮추는 데 반대한다'의 항목의 높은 투표율로 반증되기도 했습니다.
결혼식 당일 신랑이 신부의 집에서 하객과 신부를 데려간다.

중국 결혼식의 특징 중 이색적인 문화를 잠깐 소개해드리면 결혼 당일에
신랑이 웨딩카를 타고 신부의 집에 도착해서 하객과 신부를 데려가는 문화가 있습니다.
이는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 문화가 반영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 날은 신랑측에서 무리해서라도 외제차를 빌리거나 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결혼하기 적합한 절기는 중추절 (음력 8월)

음력 3월과 7월, 9월에는 죽은 자들의 넋을 기리는 청명절과 우난절, 중공절이 있기에
이 절기 근처는 결혼식을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신랑과 신부가 선호하는 날은 언제 일까요?
바로, 중추절 입니다. 중국의 중추절은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이는 날'인데요.
중국인들은 중추절인 음력 8월을 결혼하기에 가장 적합한 절기로 생각합니다.
봄과 가을에 주로 하는 우리 나라 결혼식 문화와도 비슷하죠?
축의금은 붉은색 봉투에, 금액은 짝수로!

중국인들이 빨간색을 좋아한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실텐데요.
중국인들에게 붉은색은 각종 행사나 경사스러운 날에 빠질 수 없는 색입니다.
가족 및 하객들은 '홍빠오 (红包)'라고 불리는 축의금을 빨간 봉투 안에 넣어 신랑과 신부에게 축하의 마음을 전합니다.
축의금 또한 숫자에 민감한 민족답게 짝수로 600위안 혹은 800위안 등의 짝수 축의금을 선호하는데요.
이는 보통 홀수로 축의금을 내는 한국과 다른 문화입니다.
색과 숫자를 특히나 중요시하는 중국인의 특성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일정에서도 엿볼 수 있는데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을 8월 8일 저녁 8시에 개최할 정도로
중국인들의 색과 숫자에 얼마나 민감한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웨딩드레스도 붉은색?

여러분은 '결혼식'라면 어떤 이미지가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결혼식의 꽃, 신부가 입는 순백의 웨딩드레스는 우리 나라에서 결혼식의 대명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텐데요.
중국에서 신부는 붉은색 전통 예복을 입는다고 합니다.
요즘은 붉은색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전통 예복을 입는다고 하네요.
중국 결혼식은 시간이 길기 때문에 신부는 여러 벌의 드레스를 갈아입는데,
서양의 순백 드레스와 피로연 드레스 등 보통 결혼식 중에 2 ~ 3벌의 드레스를 갈아입는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의 결혼식은 주례와 주례사 없이 결혼 증명서를 낭독하는 것으로
주로 진행하며 이후 피로연을 화려하고 성대하게 한다고 합니다.
이때 피로연 테이블에는 코스요리와 함께 하객들에게 주는 담배와 사탕이 올라오는데요.
사탕은 결혼식에 온 하객들에게 달콤한을 전해주기 위해,
담배는 이날의 기븜이 담배 연기처럼 퍼져 나가길 희망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중국의 결혼식 문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알고 있었던 관습들도 있고, 처음 알게 된 흥미진진한 내용들도 있었네요.
새로운 문화를 알아가는 건 정말 재미있는 것 같아요!
다음에는 어떤 중국 이야기를 소개할 지 기대해주세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어 의성어 & 의태어를 알아보자! (0) | 2024.07.31 |
---|---|
여름만 되면 등장하는 베이징 비키니 (방예), 이젠 단속 대상! (0) | 2024.07.30 |
배불러도 포기 못해! 중국 대표 주전부리 (0) | 2024.07.28 |
중국에도 복날이 있다고? 한국과의 차이점 비교 (1) | 2024.07.27 |
중국에서 자주 쓰는 말버릇 표현, 알아봐요! (0)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