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중국어

지갑 대신 핸드폰을 여는 중국관광객? 중국은 지금 무현금시대!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2024. 10. 13. 10:00

 

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통화 (通貨)를 가장 먼저 사용한 국가가 어느 나라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중국인데요.

 

몇 년 전부터 '화폐 종주국'인 중국에서 점점 화폐가 사라지는 중이라고 합니다.

 

현금 대신 편리하게 결제를 할 수 있는 '모바일페이'가 그 자리를 대신하기 때문입니다.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도 모바일페이 시장을 점차 확대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모바일페이 및 무현금시대와 관련된 이야기를 전해드릴게요~

 

 


 

1. 무현금 시대를 향해 가는 중국

 

중국은 현재 전세계에서 모바일페이 시스템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무현금 사회입니다.

 

요즘 중국인들은 모바일페이 앱이 설치된 휴대폰 하나로 몇 백 원 대의 소액 구매부터

 

온오프라인 물품 구입과 쇼핑, 경조사비, 고지서 납부, 고속도로 통행료, 자전거나 자동차 대여 등과 같은

 

일상생활 전반에서 발생하는 지불 활동을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전통시장 상인들은 물론 노점 주인들도

 

모두 일정 금액의 거래 수수료를 내고 저마다 등록 소지하고 있는 고유 QR코드를 이용해

 

고객의 지불 금액을 수수하고 있을 만큼 무현금 거래가 일상적인 상거래로 자리를 잡은 상태입니다.

 

2017년 말에는 깡통 대신 QR코드 단말기를 들고

 

베이징의 주요 지하철역에서 적선을 받는 중국 거지의 모습이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QR코드는 마트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바코드와 비슷하지만

 

월등히 많은 점보를 담을 수 있으며 활용성도 뛰어납니다.

 

기존의 1차원 바코드는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 저장 가능하지만

 

2차원적 정보 배열 방식을 채택한 QR코드는

 

숫자 정보 최대 7089자, 문자 정보 최대 4296자, 한자 정보 최대 1817자 정도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QR코드는 작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뛰어난 호환성을 가지고 있어 결제 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업 및 제품 홍보, 정품 인증 등 사회 각층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국 모바일페이 결제 규모가 초고속 성장을 지속하면서 중국은 빠르게 무현금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매월 전체 지출의 75%를 모바일 페이로 결제하는 사람의 비중은 43.6%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2. 지갑 대신 핸드폰을 꺼내는 중국관광객

 

QR코드는 금융과 결제에만 활용되는 것은 아닌데요.

 

관광업계도 QR코드 활용 방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환전이나 카드 소지의 부담 없이 관광객의 소비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입니다.

 

실제로 QR코드 활용에 익숙한 중국인 관광객들이 이웃 국가를 방문하는 과정에서

 

QR코드의 연쇄 활용도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숙제도 적지 않은데요.

 

일단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입니다.

 

QR코드는 컴퓨터 해독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 없이도 접속이 가능한데요.

 

QR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사용 위치와 계정 등 개인 정보가 남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중국 모바일페이 서비스의 양대산맥 '알리페이 VS 위챗페이'

 

중국에서는 양대 모바일페이업체인 알리바아의 '알리페이'와

 

텐센트의 '위챗페이'가 중국 모바일 결제 사업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습니다.

 

먼저 알리페이는 소비자들의 금융 거래를 돕는 온라인 금융 결제 서비스회사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그룹의 자회사입니다.

 

알리바바는 2004년 티몰, 타오바오 등

 

자사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돕기 위해 알리페이를 개발했는데요.

 

알리페이는 초기에는 온라인 서비스만 제공했지만

 

2009년부터는 일반 상점에서의 오프라인 서비스로 확대했습니다.

 

 

소비자들이 알리페이에 가입하고 은행 계좌, 신용카드를 연동시키면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송금이나 결제뿐만 아니라 대출, 펀드 가입 등을 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은행 계좌를 연동한 뒤 QR코드를 스캔하면 결제뿐 아니라

 

송금, 핸드폰 충전, 기차표 구매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알리페이는 국내 결제 대행업체 이니시스와 제휴하고 있으며

 

롯데면세점, 롯데마트 등과 결제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위챗페이는 텐센트 사가 개발한 다목적 소셜미디어 앱 '위챗'의 부가 서비스 중

 

2014년부터 선보이기 시작한 홍바오 (紅包) 서비스가 그 모태가 되었습니다.

 

홍바오 서비스는 설날 가족과 친지, 친구들끼리 빨간봉투에 현금을 넣어 선물하는 관습에서 착안해

 

위챗 앱 사용자들끼리 모아둔 가상 포인트를 선물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한 서비스로,

 

중국 사용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 여세를 몰아 위챗페이는 P2P 지불 및 금융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현재 모바일페이 시장 점유율 40%에 육박하며 알리페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중국의 모바일페이 및 무현금시대와 관련된 이야기를 전해드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피이 등 모바일페이 시장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습니다.

 

다음에도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로 찾아올게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