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중국어

중국인끼리 서로 말이 안 통한가? 중국어 방언의 모든 것!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2024. 10. 17. 10:00

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전 세계에서 중국어를 사용하는 인구수는 약 17억 명 가량에 이르는데요.

 

중국어를 국가 공식어로 사용하는 나라는 중국대륙, 홍콩, 대만이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 등의 화교 등도 중국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각 지역별로 사투리가 존재해 언어에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표준어가 보급돼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정도는 아닙니다.

 

그런데 중국은 땅덩이가 넓은 만큼 다양한 방언이 존재해

 

같은 중국인끼리도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중국어 방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중국인끼리 서로 말이 안통한다?

 

중국에는 모두 56개의 민족이 있는데요. 전체 인구 중 92%에 해당하는 민족이 한족 (汉族)이며,

 

나머지 55개의 소수민족이 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각자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요.

 

소수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는 중국어와는 완전히 달라

 

중국정부에서는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 보존과 발전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중국 소수민족 중 하나인 조선족의 경우에는 한국어를 쓰고 배우는데요.

 

소수민족의 언어뿐만 아니라, 같은 한족이라도 중국어의 방언 차이는 매우 큽니다.

 

그 차이가 우리나라처럼 전라도와 경상도 사투리의 차이 정도가 아니라,

 

거의 외국어 수준과 비슷해 같은 중국인이라 하더라도

 

지역간 방언의 차이가 너무 커 방언으로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중국어의 표준어인 '보통화 (普通话)'가 재정돼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중국 어느 곳을 가든 보통화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중국의 표준어

 

중국의 표준어는 현대 북경어 (北京語)를 중심으로 구성된 '한어 (汉语)' 혹은 '보통화 (普通话)'라고 하는데요.

 

중국에서 쓰는 한자는 간체자 (简体字) 입니다.

 

하지만 대만, 홍콩을 포함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의

 

화교들이 사용하는 한자는 번체자 (繁体字) 입니다.

 

대만은 중국어를 보통화, 한어라고 하지 않고

 

'국어 (國語)' 혹은 '화어 (華語)'라고 합니다.

 

 

 

중국어 방언의 종류

 

중국에는 지역별로 7대 방언이 존재하는데요.

 

한족의 약 70%가 사용하는 '북방방언 (北方方言)'을 비롯해 '상방언 (湘方言)’,

 

’월방언(粤方言)’, ’민방언(闽方言)’, ’객가방언(客家方言)’, ’공방언(赣方言)’, ’오방언(吴方言)'이 그것입니다.

 

 

북방방언

북방방언은 중국 북경을 기준으로 사용인구가 70% 이상인데요. 중국 북방지역의 각 성과 귀주 (貴州), 사천(四川), 운남(雲南) 및 화중(華中) 지역의 일부 시 (市)와 현 (縣)에서 사용되며, 분포지역이 가장 넓습니다.

 

 

 

월방언

월방언은 중국의 남부 지역인 광주 (廣州) 지역의 방언으로 일병 '광동어 (广东话)', 영어로는 'Cantonese'라고 합니다. 사용인구는 한족 가운데 약 5% 가량입니다. 월방언은 중국의 7개 방언 중 언어현상이 매우 복잡하고 고대 음운과 고대 어휘를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는 방언이며, 중국 최초의 '보통화'이기도 합니다.

 

 

 

오방언 (오어 : 吴语)

오방언은 중국 상해 (上海) 아래에 있는 소주 (宿州) 지역 방언입니다. 지금은 상해의 대표적인 방언이기도 합니다. 상해를 포함해 절강성 (浙江省) 지역에서도 오어를 사용하는데요. 오방언은 주 (周) 나라부터 지금까지 무려 3천 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사용인구는 약 1억 명 정도입니다.

 

 

 

민방언

민방언은 천주 (泉州) 혹은 창주 (漳州) 지역의 방언입니다. 이는 복건성 (福建省) 지역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언으로 민어에는 지역에 따라 '민동어 (闽东语)'와 '민남어 (闽南语)'로 나누어지며, 대만에서 사용하는 대만어를 바로 민남어라고 합니다.

 

 

 

상방언

상방언은 장사 (长沙)어를 표준으로 하는 방언입니다. 중국 호남성 대부분 지역에서 이 방언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국 인구의 5% 즉 4,600만 명 정도가 상방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객가방언

토속 광동어라고도 하는 객가방언은 영문으로는 'Hakka'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객가족 (客家族)은 중원(中原) 즉, 하남(河南), 안휘(安徽), 복건(福建), 광서(廣西), 호남(湖南), 사천(四川) 등 광동성 동부와 북부, 복건성 서부, 광서성 남부와 광동성 동남부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객가방언은 사용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전국 각지로 퍼져 나갔으며, 지금은 동남아, 미주 등 세계 각지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공어 (赣语)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릴 중국어 방언인 공어는 '강서어 (江西话)'라고도 하는데요. 강서성 대부분 지역과 복건성 서부에서 쓰이며, 사용인구는 5,148만 명 정도로 중국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특히, 남창 (南昌) 지역에서 대표적으로 쓰입니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쓰이는 표준어와 7가지 방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하나의 국가 안에서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많은 방언이 존재하면 불편한 점도 있을 수 있겠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문화의 다양성을 지킬 수 있다는 면에서는 장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