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12월 21일은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절기이자 팥죽을 먹는 '동지'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동짓날 팥죽을 먹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고 계시나요?
이왕이면 그 이유를 알고 먹으면 더 좋겠죠!
오늘은 동짓날 팥죽의 유래와 풍습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동지란?

동지는 24절기 중 22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쉽게 말해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하지와 정 반대인 절기이기도 합니다.
동지는 '양력 (阳历 yánglì)'으로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에 해당하는데요.
음력으로 동지가 동짓날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부릅니다.
민간에서는 동지가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가 있어 설 다음의 작은 설로 지냈습니다.
한편, 중국 주나라에서는 동지에 생명력과 광명이 부활한다고 생각하여 동지를 설로 삼았습니다.
이는 동지와 부활이 같은 의미를 지닌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2. 동지에 먹는 팥죽, 그 유래는?

'동지 (冬至 dōngzhì)'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바로 '동지팥죽'일 텐데요.
옛날부터 동지에는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만든 새알심을 넣어 끓인 동지 팥죽을 먹습니다.
잉렇게 동지에 팥죽을 먹는 것은 팥의 붉은색이 양을 상징하는 색이기 때문에
음을 쫓는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예로부터 동지에 '팥죽 (红豆粥 hóngdòuzhōu)'을 다 만들면 사당에 올려 고사를 지내고,
각 방이나 헛간과 같은 집안 곳곳에 놓아둔 후 식구들이 모여서 팥죽을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같은 동지라 할지라도 동지가 음력 11월 10일 안에 들면 '애동지'라고 하여
아이들에게 나쁘다고 생각해 팥죽을 쑤지 않았으며,
괴질로 인해 죽은 사람이 있어도 팥죽을 쑤어 먹지 않았다고 합니다.
3. 지금까지 이어지는 동지팥죽 관련 풍습

옛 조상들은 좋은 일이 있거나, 나쁜 일이 있을 때에는 팥죽, 팥밥, 팥떡을 해서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런 풍습 중 일부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고사를 지낼 때 또는 새로 가게를 오픈할 때 팥떡을 준비하는 것이 바로 이런 풍습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 외에도 이사하거나 새 집을 지었을 때에도 팥죽을 써서 집 안팎에 뿌리거나,
이웃과 나누어 먹는 풍습 또한 지금까지 이어지는 풍습 중 하나입니다.
예부터 내려오는 풍습 외에도 동지 팥죽은 겨울철의 별미로 널리 알려져 있어 즐겨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팥은 피부의 붓기나 열을 내리고 아픈 부위에 효과가 있으며
설사, 진통 등에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이기도 합니다.
4. 동지와 관련된 옛 궁중 & 민간 풍습

동짓날 궁중에서는 설날과 동지를 가장 으뜸이 되는 축제로 생각하여
동짓날 군신과 왕세자가 모여 잔치를 하는 회례연을 베풀었는데.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추고 동지사를 파견하여 축하하였으며,
지방의 관원들은 임금에게 전문을 올렸다고 합니다.
백성들은 동짓날이 되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곤 했는데요.
일가친척이나 이웃 간에 서로 화합하고 어려운 일은 서로 마음을 열고 풀어 해결했습니다.
특히 오늘날 연말이면 불우이웃 돕기를 하는 것도
이런 동짓날의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한편, 동짓날은 '동지 부적'이라고 해서 뱀 모양 '사 (蛇)'자를 거꾸로 붙여 잡귀를 막고,
팥죽을 먹지 않으면 쉽게 늙고 잔병이 생기며 잡귀가 성행한다는 미신이 존재하는데요.
이 외에도 동짓날 날씨가 따뜻하면 이듬해 질병이 많아 사람이 많이 죽는다고 전해지며,
눈이 많이 오고 추우면 풍년이 올 징조라고 여기곤 했습니다.
맛도 좋고 영양가도 풍부한 팥!
오는 21일 동지에는 팥죽도 먹고,
팥죽의 유래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면 좋겠네요~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성탄절과 연말연시 풍경 (0) | 2024.12.21 |
---|---|
작은 설 동지, 중국의 동지 음식 알아보기 (0) | 2024.12.20 |
추워지면 생각나는 중국의 겨울 간식 소개 (1) | 2024.12.10 |
중국여행, 이제는 무비자로 갈 수 있다고? 주의사항 함께 알아봐요~ (2) | 2024.12.05 |
우리나라는 붕어빵! 중국은? 중국의 겨울 간식 알아보기 (1)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