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 안녕하세요!!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입니다

중국 한자에는 같은 뜻을 가졌다고 해도
모양이 다를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뜻하는
国와 國은 같은 뜻이지만
모양이 다르죠?
바로 간체자와 번체자의 차이인데요.
오늘은 간체자와 번체자의 유래
그리고 이 둘의 차이점과 사용하는
지역들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먼저 한자 자체는 갑골문자를 시작으로
'해서'로, 그리고 전반적인 추세도
번식에서 간결로 바뀌었는데 여기서 간체자는
해서의 간략화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서는 위진 시대 (魏晋, 220~589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간체자는 남북조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해서의 간략 버전 글자의
사용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나 간체자는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보다
일반적으로 민간에서 합의된 글쓰기 방식이었습니다.
다른 말로 속체자 (俗體字)라고도 하는데
해당 시기의 속체자는 지금 중국 내륙에서 쓰이는
간체자와는 조금 달랐습니다.
그 당시 속체자는 대부분 정체 (正體)자의 글씨에서
획을 바꾸거나 부수를 바꾸어 쓴 것입니다.

근데 중국에 이르러서 1935년 8월에
'제1차 간체자 표 (第一简体字表)‘가 발표된 후,
여러 결함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고
1936년 2월에 이를 다시 회수하였습니다.
1950년 7월 마오쩌둥은 하급자를 통해
문자 개혁을 제대로 진행시키려면 한자 간체화부터 해야 하는 동시에
역사를 가지고 있는 번체를 단절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는데
1952년 중국의 정치가인 장제스는
다시 한자의 간체화를 제안했으나
당시 과도한 국내외 업무로 무산되고
1954년 중국 정부는 문자 개혁 위원회 (文字改革委员会)를
설립하여 한자 간체화를 공식적으로 시작했습니다.
1956년에는 '한자 간소화 방안 (汉字简体化方案)'이
정식 채택되고 1960년 이후 다시 한자의 2차 간소화가 시작되었으나
중국 문화대혁명을 만나 일시 중단되었습니다.

1973년에는 저우언라이는 한자의 간화가
불충분하다고 주장하여 계속 간체를 수정했습니다.
1970년대부터 베이징의 신문들은 이미
두번째 한자간화 운동에 나온 한자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한자 간화 작업들로 인해
2000년 10월 31일 문자법 (文字法)이 통과되어
비로소 중국 대륙에서 문자를 통용하는 법적
지위를 확립하였습니다.

한자의 간화는 단순한 법칙이 아닌
9개의 원칙에 의거하여 진행되었습니다.
9개의 원칙은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자의 간화 9개 원칙
일부만 남기고 지움
한자 일부를 바꿈
한자의 특징과 윤곽만 남기고 전부 제거
발음만 같은 다른 글자로 대체
초서체를 해서체로 바꿈
변과 방, 둘 중 하나를 음만 같은 글자로 대체
병과 방의 간략화
문자를 새로 만들어 냄
획이 적은 고체자를 사용
간체와 번체 차이점

간체자와 번체자 차이점의
첫번째는 가장 기본적으로 이를 구분하는
자형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어휘의 차이인데,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국어와 번체자를 사용하는 중국어는 지역과 문화
언어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단어도 몇개씩은 다르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중국 대륙에서는 문자메시지를 短信이라고 하는데,
대만에서는 简讯, 홍콩에서는 短讯 이라고 합니다.
세번째는 시간과 지역의 차이인데 시간적으로
간체자 중국어는 주로 전승된 한자와 1950년대 이후 중국
정부가 추진한 간체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번체자는 3000년 이상의 문자 역사를 통해
오늘날까지 발전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체자는 주로 중국 본토에서 사용되며
번체자는 홍콩, 마카오, 대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기타 지역에서 중국인 혹은 화교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중국 본토의 동남쪽 해안 지역,
특히 홍콩과 마카오에 가까운 광동 지역에서도 여전히
번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전체적으로 간체화되고 있는
추세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자를 번체자로 썼는데
일본은 번체자와 간체자를 합친 신조 한자와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간체자와 번체자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간혹 중국어를 배우는데 간체자와 번체자를
모두 알아야 하는 걸까 하는 생각으로 걱정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시는데요.
중국어권 문화도 글로벌화 추세에 따라
서로 소통하고 융합해왔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대다수가 사용하는
중국 대륙의 간체 중국어만 공부하셔도 괜찮습니다!
학습상담 053-633-5525
네이버톡톡 또는 카카오채널에서도 상담 가능합니다.
검색: 차이홍 월성 중국어 교습소
'컨텐츠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기차여행 전 필독! 고속철 명칭과 종류 등급 알아보기 (0) | 2024.02.28 |
---|---|
코로나 이후 달라진 중국의 다양한 사업들 (0) | 2024.02.27 |
중국어 인사 가슴 설레는 영화 속 고백 명대사로 배워봐요! (0) | 2024.02.25 |
에버랜드의 인기스타 판다 푸바오와 중국의 판다 관람지 추천! (0) | 2024.02.24 |
중국말 배우기 좋은 드라마와 노래 추천! (0) | 2024.02.23 |